한국은행 기준금리는 1.25% 금리 상승은 필연적으로 보인다. 금리 상승 때문에 염려했던 유가 등 에너지 비용이 상승할 것을 예상했는데 러시아 때문에 유가상승이 더 빨리 찾아왔다. 정부도 기약 없이 유가 보조를 해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한국은행의 기줌 금리 추이 - 1%가 떨어지는데 5년 밖에 걸리지 않았다.
기준금리가 2015~2020년까지 약 1%가 떨어졌다. 그 사이 부동산의 변화를 상기 시켜 보자. 앞으로 0.5%가 상승하는 데 얼마나 걸릴 것 같은가? 이것에 "주목" 해야 한다!
한은의 기준 금리는 사실 미루고 미루고 있는 격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를 살펴보면 금리 인상은 필연적으로 보인다.
2022년 3월 18일자 검색 결과다. 미국은 올해 기준 금리를 6회 더 인상할 것으로 예고했고, 점진적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예고하고 있다.
"어제 딸기 값이 비싸서
어물쩡 거리는 나 자신을
부끄럽게 생각하게 한 자,
바로 금리 너 때문이다!!"
앞으로 금리 인상이 되면 어떡하지? 어떻게 되지? 라고 생각하게 된다.
금리 인상이 되면 결과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 이유는 "유지"가 안되기 때문.
코로나 때문에 부동산이 대형화 위주로 너나 할 것 없이 상승했는데(대형화 위주 다시 인기!) 5년 전만 해도 필자 역시 소형화 위주의 부동산이 대세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누구도 미래는 장담할 수 없음을 다시 깨닫고 있다.
유가상승 또한 예고된 스토리지만 러시아가 유가상승을 더 앞당길 줄이야...
부동산은 대형이고 소형이고 이제 "유지"의 문제가 달렸다.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힘들고 대형 주택일수록 에너지 비용은 더 감당이 안 될 것이다. 이것은 인건비 상승 등 모든 문제로 넘어간다.. 휴..
요즘 아파트는 자체 에너지 효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덜 할 수도 있지만, 이것 때문에 전체 에너지 비용 부담이 줄어든 그래프를 갖진 않을 것이라 본다.
금리가 1.75% 까지 가면 대세는 확 바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채권 금리와 예금 금리가 더 매력적이기 때문에 당연히!! 부동산에서 돈이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나만의 이야기가 아님을 알 것이다. 공부 조금만 하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예견된 미래다.
지금은 이 때를 대비해야 할 것 같다.
무조건 현금이다. 이제 현금 들고 있는 자가 다시 부동산 줍줍, 채권, 예금으로 꾸준한 인컴 확보를 하는 부익부 빈익빈이 또 한 번 가속화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시 부의 격차가 벌어지는 10년이 오고 있는 것이다.
집없다고 넋 놓고 있다가는
또 다시 멘붕이 올 거에요.
정신차리고 수단과 방법을
총 동원해서 준비하세요!
윤석열 당선인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오른다와 폭락할 것이다의 의견이 팽배한 가운데 또 다시 코로나, 러시아 같은 바늘 같은 존재가 어디서 또 튀어나올지 모르는 일이다.
불확실성도 이런 초 복잡계가 없다. 앞으로는 가진자처럼 생각하고 투자해야 살아남을 것이다.
현금을 준비하자.
'Make a ri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 고용지원금 신청하면 누구나 다 줌 (0) | 2022.08.17 |
---|---|
근로장려금 자격 확인 및 홈택스 신청 바로 하기 (0) | 2022.04.30 |
근로기준법에서 보는 임원의 범위 (0) | 2022.03.12 |
부부가 공동 사업자로 세금을 줄이면 어떻게 될까? (0) | 2022.01.10 |
소상공인 방역 지원금 지급 대상과 업종별 지급 시기 (0) | 2022.01.08 |